아시아재단 한국 본부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447 부남빌딩 7층 (03148)
Email : korea.general@asiafoundation.orgTel : 02-732-2044~6Fax : 02-739-6022
COPYRIGHT 2020 © 2019 The Asia Foundation Korea Office ALL RIGHTS RESERVED.몽골 성매매 등 여성폭력방지 및 피해자지원(ODA)
아시아재단은 여성가족부의 지원으로 몽골 여성폭력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사업을 통해 피해자들을 위한 예방교육, 인식제고 캠페인, 재활지원 서비스, 직업훈련 등을 제공하였습니다.
January 18, 2022
바이든 행정부를 위한 대아시아 외교정책 전략 권고안: 향후 미국-아시아 관계에 대한 아시아 전문가 의견서
지난 미국 행정부에서는 세계 정치질서에 대한 오랜 추측들이 반복적으로 제기되었으며, 기존 미국의 외교 정책 포지션에서 예상치 못했던 조치들이 취해졌습니다. 이 기간 동안 아시아인들은 혼란, 우려, 안도, 찬성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미국이 아시아 국가 및 여타 지역에서 철수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했습니다.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많은 아시아인들은 미국의 관여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아시아는 여전히 상충되는 추세와 다양한 해석으로 가득찬 광대하고 복잡한 지역으로 남아 있습니다. 아시아에는 미국의 주둔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아시아 국가들은 대체로 미국의 관여를 원합니다. 그렇다면 미국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이 질문을 다루기 위해 아시아재단은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네팔, 인도네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의 주요 정치, 안보, 경제 및 무역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미국의 동북아시아, 남아시아, 그리고 동남아시아 지역 정책과 전망에 대해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이 논의를 기반으로 한승..
September 30, 2021
코로나-19시대 지속가능 인프라 협력에 대한 동북아시아의 시각
아시아재단은 KDI국제정책대학원과 2020년 12월 '코로나-19시대 지속가능 인프라 협력에 대한 동북아시아의 시각'을 주제로 동북아 정책대화포럼을 개최하였습니다. 참가국 간의 신뢰 관계 구축과 지역협력 증진을 목표로 중국, 일본, 몽골, 한국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지속가능 인프라 협력의 최신동향, 기회, 도전과제 등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주요 논의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인프라협력에 대한 합의 도출 및 균형점 모색 2) 코로나-19, 기술, 미래대비 3) 금융지원 프로젝트 촉진 4) 지역 역학 및 협력 정책대화포럼에서 논의한 내용을 기반으로 발간한 이번 보고서는 주제별 현황 및 최신동향을 분석하고 장애요인 극복과 글로벌 지속가능 인프라협력 기회 파악을 위한 정책 방안에 대한 제언을 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PDF 파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June 10, 2021
코로나-19 시기와 그 이후, 아시아 개발협력의 변화: 2020 남-남 개발협력 웨비나 시리즈 보고서
KDI 국제정책대학원과 아시아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2020년 남-남 개발협력(Asian Approaches to Development Cooperation, AADC) 웨비나 시리즈에는 아시아의 개발협력 전문가, 정부 관계자, 시민단체 활동가,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아시아 신흥공여국의 관점을 공유하고 상호 교류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2020년 AADC는 코로나-19시기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공적개발원조 및 남남협력에서의 새로운 변화,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비정부 주체의 역할 증대, 코로나-19 이후 아시아의 다자주의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첨부파일로 발행된 보고서(국/영문)를 보실 수 있습니다.
February 26, 2021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의 미래: 아시아 개발협력의 시사점
아시아재단과 KDI국제정책대학원은 아시아 남남협력 국제회의 시리즈(Asian Approaches to Development Cooperation, AADC)의 일환으로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의 미래: 아시아 개발협력의 시사점”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이번 연구는 2019년 서울에서 개최된 국제회의 및 집필자 워크숍의 논의 결과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한국, 중국, 인도, 태국, UN 등의 아시아 개발협력 전문가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 아시아의 미래 일자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January 28, 2021
아시아재단의 2021년 전망
아시아재단 18개 지부 대표들이 2021년 올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뉴스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일들을 전망했습니다. 한국의 경우, 코로나 이후 남한과 북한의 차원에서, 또 국내 차원에서도 양극화가 심해지는 K자형 회복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 아시아 국가마다 올해 어떤 이슈가 있을지 지부 대표들의 인사이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Afghanistan) Abdullah Ahmadzai Already reeling in 2020 from the impact of Covid-19, a deteriorating economy, and rising insecurity, Afghanistan enters 2021 with a top priority of reducing and eventually ending the violence by securing a peace agreement with the Taliban. Peace negotiations between the Afghan government and the Taliban resumed on January 5 in Qatar, and these talks are expected to determine Afghanistan’s future, including the country’s political system. More than ever before, political actors involved in these negotiations must act resolutely to ensure transparency in the..
January 22, 2021
국내 북한이탈주민 기업가 현황 보고서
현재 대한민국에는 3만 3천여 명의 북한이탈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 중 절반은 창업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 기업가의 상황과 필요에 대한 이해가 그동안 제한적이었으며 관련 자료 또한 충분하지 않았던 것이 현실입니다. 이에 아시아재단은 『국내 북한이탈주민 기업가 보고서: 숨겨진 한국의 잠재력을 발견하다』를 발간하였습니다. 국내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기업가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0명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발간한 이 연구보고서에는 북한이탈주민 기업가들의 경험과 특성, 그리고 이들이 직면하고 있는 도전과제 뿐만 아니라 남한과 향후 통일 한국에 기여할 잠재적 기회에 대한 소중한 인사이트가 담겨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국내 북한이탈주민 기업가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영문 보고서이며, 국문 자료로서는 가장 최신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 사회적 포용력을 강화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을 지원하기 위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 및 전략적 제언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첨부파일로 국문 및 영문 보고서를 확인하실..
December 23, 2020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과거 경험을 통해 얻은 값진 교훈
아시아재단 한국지부가 쓴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글이 Devpolicy Blog에 게재되었습니다. Devpolicy Blog는 호주국립대학교의 크로포드 공공정책대학원(Crawford School of Public Policy,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에 기반을 둔 원조 및 개발을 위한 씽크탱크인 Development Policy Centre가 운영하며, 원조와 개발에 대한 분석, 리서치 및 정책 논평에서 최고의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아래 링크와 첨부파일을 통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링크: https://devpolicy.org/south-koreas-covid-19-response-20200609-1/
December 04, 2020
아시아 내 분쟁 예방과 평화 구축: 2018 남-남 개발협력 전문가 회의 연구보고서
아시아 국가들의 국내 및 국제 관계 속의 갈등은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어온 문제입니다. 개발 협력이 갈수록 국가, 지역과 대륙 간의 연계성에 더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면서, 국가 내부와 국가 간의 분쟁은 지속 가능한 개발의 중요한 변수로 자리 잡았습니다. 본 연구 보고서는 아시아의 복잡한 지정학적 지형을 분쟁의 영향을 받는 아시아 국가와 분쟁 지역을 지원하려는 국가의 관점에서 시사합니다. 이와 같은 관점과 제안은 아시아 국가들이 어떻게 평화 구축 계획을 지원하고 대륙 전체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장려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June 16,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