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재단 한국 본부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447 부남빌딩 7층 (03148)
Email : korea.general@asiafoundation.orgTel : 02-732-2044~6Fax : 02-739-6022
COPYRIGHT 2020 © 2019 The Asia Foundation Korea Office ALL RIGHTS RESERVED.송경진 대표, 대한상의 중견기업위원회에서 아시아재단 기관 소개
송경진 대표는 11월 27일 (수) 제29차 대한상의 중견기업위원회에 참석해 위원회 회원들에게 아시아재단의 주요 연혁 및 활동 그리고 한국과의 특별한 관계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또한, 송 대표는 각국 정부, 공공기관, 글로벌 기업 등 재단의 주요 협력 파트너를 언급하고 아태지역 발전을 위한 한국의 역할과 참여를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2기에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내 네트워크 구축 및 아웃리치에도 아시아재단과의 협력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언급했습니다. 작성: 한은혜 대외협력 선임담당관
재단소식
December 03, 2024
아시아재단, "Trump 2.0 and the Indo-Pacific" 라운드테이블 개최
아시아재단 한국 본부는 주인도한국대사관과 11월 27일(수) ‘Trump 2.0 and the Indo-Pacific’을 주제로 아시아재단 라운드테이블 토론을 공동 개최하였습니다. 패널로는 탄비 마단(Tanvi Madan) 브루킹스 연구소 선임 연구위원과 임상우 주인도한국대사관 공사가 참여하였으며, 송경진 아시아재단 한국대표가 모더레이터를 맡았습니다. 송경진 대표의 아시아재단에 대한 간략한 소개 이후, 두 패널은 각각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인도-태평양 지역에 미칠 영향과 한-미, 미-인, 한-인 및 한-미-인 관계에 대해 심도 깊은 분석을 제시했습니다. 탄비 마단 선임 연구위원은 트럼프의 대중국 정책이 인도-태평양 지역 전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트럼프가 무역, 이민, 안보 문제에서 강력한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미국의 동맹국과 파트너국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임상우 공사는 인도-미국 관계의 발전을 강조하면서, 트럼프 2기에도 인도는 미국과의 관계..
재단소식
December 02, 2024
아시아재단 한국본부, 이공계 여대생들을 위한 AI 특강 개최
아시아재단 한국본부는 STEM ConnectHER(SCH)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1월 25일(월)-26일(화) 숙명여자대학교 이공계 학생들을 위한 AI 특강을 개최했습니다. 이선미 아시아재단 한국본부 사업조정관은 특강에서 아시아재단 및 SCH 프로그램을 소개했습니다. ※ SCH 프로그램: 아태지역 여성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 역량 강화 및 네트워크 구축 목적. 1:1 멘토링, 기업 방문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약 180명의 이공계 학생들이 11월 25일(월) 박영호 숙명여자대학교 인공지능공학부 교수의 「데이터베이스 기반 인공지능」 강의에 참석, AI의 다분야 활용 사례 및 미래 직업 변화 전망을 통해 진로 관련 인사이트를 얻었습니다. 11월 26일(화) 박화진 숙명여자대학교 인공지능공학부 교수의 「AI 시대의 수학」 강의에서는 약 60명의 인공지능학부 1학년 학생들이 AI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수학과의 연관성을 파악했습니다. 본 행사에는 (사)글로벌여성ICT네트워크가 협력 기관으로 참여했습니다. ..
재단소식
November 27, 2024
송경진 대표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민주주의’ 영문 번역문, The Security World에 게재
송경진 대표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민주주의’(11월1일자 서울신문에 게재된 칼럼)의 영문 번역문이 방글라데시 외교안보 전문 격월간지인 ‘The Security World’ 11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첨부파일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재단소식
November 25, 2024
송경진 대표,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개최된 한-방글라데시 협력 세미나(11.5) 연사 참여
송경진 아시아재단 한국대표는 주방글라데시한국대사관(대사: 박영식)이 11월 5일 다카에서 개최한 “인태전략과 그 이후: 한-방글라데시 관계 공고화” 세미나에 연사로 참석하였습니다. 송 대표는 한국 인도태평양전략의 비전과 원칙 그리고 9개 중점 추진 과제를 소개했습니다. 송 대표는 실행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이 제안했습니다: - 신기술, 우주 안보, 기후 대응, 환경, 보건, 무역 등 상호 관심 사안에 관한 폭넓은 논의를 위해 정기적인 한-방글라데시 정책 다이얼로그 추진; - IORA, IOC, BIMSTEC 등 남아시아의 다자 포럼에서 한국의 참여 강화; - 해양 영역 인식(MDA), 해양 안보, 해양 감시 및 정보 공유에 대한 협력 강화; - 사이버보안 협력 강화(이와 관련해 송 대표는 아시아재단의 APAC 사이버보안 펀드 프로그램을 소개함); - 디지털 전환, 인프라, 수자원 관리, 해양 관리, 재생에너지 등 ..
재단소식
November 11, 2024
아태지역 사이버보안 기금(ACF) 프로그램 관련 제1차 자문 회의 개최
아시아재단 한국본부는 10월 31일(목) 「아태지역 사이버보안 기금」(ACF)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MSMEs) 대상 교육 준비 관련 자문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아시아재단 한국본부와 기업가정신학회, 씨드젠, 한국정보보호학회(KIISC), 한국기술정보연구원(KITRI) 등 협력기관은 교육 내용과 구성, 타겟 그룹 선정, 홍보 방안을 포함한 관련 사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2025년 2월, MSMEs 대상 사이버보안 교육을 출범할 예정입니다.
재단소식
November 01, 2024
송경진 대표의 서울신문 칼럼, “‘미디어 리터러시’와 민주주의”
송경진 대표의 칼럼이 11월 1일 서울신문에 게재되었습니다. 송 대표는 허위조작정보(disinformation) 가속화가 민주주의에 위협이 됨을 지적하며,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법과 제도의 정비와 국제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칼럼 전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열린세상] ‘미디어 리터러시’와 민주주의 날짜: 2024년 11월 1일 링크: [열린세상] ‘미디어 리터러시’와 민주주의 | 서울신문
언론보도
November 01, 2024
아시아재단 "From Vulnerability to Resilience: Cybersecurity Challenges for MSMEs in the APAC Region" 출간
아시아재단의 최신 연구 간행물을 소개드립니다. 아태 사이버보안 기금(ACF)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From Vulnerability to Resilience: Cybersecurity Challenges for MSMEs in the APAC Region”이 출간되었습니다. 아시아재단이 Google.org, 사이버평화연구소(CPI)와 함께 제작한 본보고서는 한국 포함 아태지역 12개국 MSMEs의 사이버 위협 현황, 규제 환경, 모범 사례 등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재단소식
November 01, 2024
사이버 보안 인식의 달 : '살짝 엿보기'(Sneak Peek) ― 동남아시아의 영세중소기업(MSMEs)과 사이버 보안 II
아시아재단은 사이버 보안 인식의 달 마지막 ‘살짝 엿보기’(sneak peek)에서 베트남, 태국, 필리핀의 사이버 보안 실태를 조명합니다. 올해의 주제인 “우리 세상을 안전하게”(Secure Our World)는 보다 안전한 디지털 환경 조성에 필요한 개개인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아시아재단이 주도하고 Google.org가 지원하는 APAC Cybersecurity Fund(ACF) 프로그램은 30만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학생들의 사이버 위협 대응 핵심 기술 탑재를 목표로 합니다. 사이버평화연구소(CPI)와 글로벌사이버얼라이언스(GCA)도 협력기관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ACF는 맞춤형 연구와 종합적인 사이버보안 커리큘럼을 통해 기업들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을 능숙하게 헤쳐 나가도록 함께합니다. 아시아재단에서는 아태지역 12개국 인사이트를 포함한 종합 연구보고서를 곧 공유할 예정입니다! 모두를 위한 디지털 세상을 만드는 데 동참해 주세요.
재단소식
October 30, 2024